와서 나를 따르라
5월 6일~12일. 누가복음 12~17장; 요한복음 11장: ‘나와 함께 즐기자 나의 잃은 양을 찾아내었노라’


“5월 6일~12일. 누가복음 12~17장; 요한복음 11장: ‘나와 함께 즐기자 나의 잃은 양을 찾아내었노라’” 와서 나를 따르라—개인 및 가족: 2019 신약전서(2019)

“5월 6일~12일. 누가복음 12장~17장; 요한복음 11장”, 와서 나를 따르라—개인 및 가족: 2019

이미지
아들을 껴안는 남자

탕자, 리즈 레몬 스윈들.

5월 6일~12일

누가복음 12~17장; 요한복음 11장

“나와 함께 즐기자 나의 잃은 양을 찾아내었노라”

누가복음 12~17장요한복음 11장을 읽으면서 하나님께서 여러분이 무엇을 알고 행하기를 바라시는지 기도하는 마음으로 구한다. 이 성구들을 공부하는 동안 여러분을 위해 준비된 메시지를 받아들이도록 여러분의 마음이 열릴 것이다.

느낌을 기록한다

많은 경우, 100중 99라는 수치는 매우 훌륭하다고 여겨지지만, 그 숫자가 하나님 아버지께서 사랑하시는 자녀들을 나타내는 경우라면 상황이 다르다.(교리와 성약 18:10) 그런 경우라면 구주께서 잃어버린 양의 비유에서 가르치신 것처럼 한 명의 영혼은 “그 잃은 것을 찾아내기까지” 철저하고 필사적으로 찾을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누가복음 15:4) 그리고 그럴 때, ”죄인 한 사람이 회개하면 하늘에서는 회개할 것 없는 의인 아흔아홉으로 말미암아 기뻐하는 것보다 더하리라”라는(누가복음 15:7) 말씀에 묘사된 큰 기쁨을 느낄 수 있다. 만일 이것이 불공평하다고 생각된다면, 사실 “회개할 것 없는” 사람은 아무도 없음을 기억한다. 우리는 모두 구조받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는 모두 구조에 참여하여 구원을 얻은 영혼 한 명 한 명을 위해 함께 기뻐할 수 있다.(교리와 성약 18:15~16)

이미지
개인 학습 아이콘

개인 경전 공부를 위한 아이디어

누가복음 12장; 14~16장

나는 세상의 것보다 영적으로 중요한 것에 마음을 두어야 한다.

왜 하나님께서는 큰 곳간을 짓고 그곳을 수고의 결실로 가득 채운 근면하고 성공한 남성을 “어리석은 자”라고 칭하셨는가?(누가복음 12:16~21 참조) 누가복음의 이 부분에서 구주께서는 몇 가지 비유를 통해 우리의 시야를 세상의 것에서 들어 올려 영적인 것에 집중하도록 가르쳐 주신다. 그 비유 중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여러분은 각 비유의 교훈을 어떻게 요약하겠는가? 주님께서는 여러분에게 무엇을 말씀하고 계시는가?

또한 마태복음 6:19~34, 니파이후서 9:30, 교리와 성약 25:10을 참고한다.

누가복음 15장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잃어버린 자들을 찾을 때 기뻐하신다.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죄를 지었거나 “잃은” 자들을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해 본 적이 있는가?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은 예수께서 그런 자들과 어울리시는 것만으로도 그분을 비난했다. 이에 대해 예수께서는 누가복음 15장에 나오는 세 가지 비유를 말씀해 주셨다. 바로 잃은 양의 비유, 잃은 동전의 비유, 탕자의 비유이다.

이 세 가지 비유를 읽으면서 이 비유들 간의 비슷한 점과 다른 점을 목록으로 만들어 본다. 예를 들어 무엇을 왜 잃어버렸고, 어떻게 찾았으며, 그 잃은 것을 찾았을 때 사람들이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살펴본다. 예수께서는 자신은 잃은 바 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포함하여 “잃은” 자들에게 어떤 교훈을 전하셨는가? 잃어버린 자들을 찾는 사람들에게는 어떤 가르침을 주셨는가?

물론 잃어버려진 자가 되지 않는 편이 훨씬 낫다. 누가복음 15장 7절에 대해 제임스 이 탈매지 장로는 다음과 같이 썼다 “죄에 항거한 의로운 영혼보다 회개한 죄인이 우월하다고 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예수 그리스도 [1916], 461쪽) 하지만 우리는 모두 죄를 지으며 구조를 받을 필요가 있다. 구주께서 비유를 통해 우리에게 전하고자 하신 것은 하나님께서는 한 영혼이라도 멸망하는 것을 원치 않으시기에 우리는 모두 회개하고 의롭게 될 수 있다는 위안의 말씀이었다.

또한 교리와 성약 18:10~16과  제프리 알 홀런드, “또다른 탕자”, 리아호나 2002년 7월호 69~72쪽을 참고한다.

이미지
동전을 찾는 여인

잃어버린 은 동전, 제임스 티소

누가복음 16:1~12

그리스도는 불의한 청지기의 비유를 통해 어떤 가르침을 주고 계신가?

제임스 이 탈매지 장로는 그 비유에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 한 가지 교훈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부지런하라. 세상적인 재물을 사용할 시간은 곧 지나가 버릴 것이다. 부정직하고 악한 자들에게서도 배울 교훈이 있다. 그들이 가까운 미래에 대비하기 위하여 그토록 신중하다면 영원한 미래를 믿는 여러분은 이에 대비하기 위하여 얼마나 더 신중하여야 하겠는가! 여러분이 ‘불의한 재물’을 사용하는 지혜와 신중함을 배우지 못한다면 어떻게 영속하는 재물을 맡겠는가?” (예수 그리스도, 467~468쪽)

누가복음 17:11~19

받은 축복에 감사할 때 우리는 하나님과 더 가까워질 것이다.

여러분이 그 열 명의 나병 환자 중 한 사람이었다면, 다시 돌아가서 구주께 감사를 드렸겠는가? 감사를 드렸던 나병 환자는 그 행동 덕분에 다른 어떤 축복들을 또 받게 되었는가? 감사를 표현하는 것은 여러분에게 영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헨리 비 아이어링 회장이 “오 기억하고 기억할지어다”(리아호나, 2007년 11월호, 66~-69쪽)라는 제목으로 전한 말씀의 내용처럼 이제부터 우리가 감사하는 일들을 일지에 적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요한복음 11:1~46

예수 그리스도는 부활이요 생명이시다.

나사로를 죽음에서 일으키신 기적은 예수가 진실로 하나님의 아들이요 약속된 메시야라는 강력하고도 부정할 수 없는 간증이었다. 요한복음 11장 1~46절에는, 예수가 “부활이요 생명”임을 믿는 여러분의 신앙을 강화해 주는 어떤 단어나 문구, 세부적인 내용이 나오는가? 이 믿음은 여러분의 삶과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미지
가족 학습 아이콘

가족 경전 공부 및 가정의 밤을 위한 아이디어

가족과 함께 경전을 읽을 때, 여러분은 가족의 상황에 맞게 어떤 원리를 강조하고 토론해야 할지를 영의 도움을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제언들을 참고한다.

누가복음 15:1~10

여러분의 가족은 무언가를 잃어버리거나 길을 잃는 것이 어떤 느낌인지 알고 있는가? 그러한 경험에 대해 나누면서 잃어버린 양과 잃어버린 동전의 비유에 대한 토론을 시작한다. 혹은 가족 중 한 명이 숨고 나머지 가족들이 그 사람을 찾는 게임을 할 수도 있다. 이 활동은 위의 비유들을 이해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누가복음 15:11~32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들이 길을 잃었을 때 어떻게 이야기 속의 아버지처럼 행동할 수 있을까? 맏아들의 경험에서 우리는 더욱 그리스도와 같이 되는 데 도움이 되는 어떤 점을 배울 수 있을까? 이 비유 속의 아버지는 어떤 점에서 하나님 아버지와 같은가?

누가복음 17:11~19

가족들이 열 명의 나병 환자 이야기를 삶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감사를 전하는 비밀 쪽지를 적어 집안 곳곳에 붙여 보자고 제안한다. 또는 찬송가 142장, “세상 모든 풍파 너를 휩쓸어”를 같이 부르고 가족이 받은 축복을 함께 이야기해 볼 수도 있다.

요한복음 11:1~46

“나사로가 죽음에서 일어나다” 동영상을 (LDS.org) 함께 보고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간증을 나눈다.

어린이를 가르치기 위한 더 많은 아이디어를 보려면, 『와서 나를 따르라—초등회』 교재의 이번 주 학습 개요를 참조한다.

더 나은 가르침을 위하여

이야기와 예를 활용하여 복음 원리를 가르친다. 구주께서는 자주 이야기와 비유를 통해 복음 원리를 가르치셨다. 가족들이 복음 진리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여러분 자신의 예나 이야기를 생각해 본다.(구주께서 보여 주신 방법으로 가르침, 22쪽 참조)

이미지
예수님 앞에서 감사를 표하며 무릎을 꿇은 남자

그 아홉은 어디 있느냐, 리즈 레먼 스윈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