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침례


“침례”, 『주제 및 질문』(2023)

이미지
침례

복음 학습 안내서

침례

“사람이 물과 성령으로 나지 아니하면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느니라”(요한복음 3:5)

여러분이 인생에서 심각한 잘못이나 죄를 짓고 나서 후회를 했던 적은 언제인가? 회복된 복음의 핵심 메시지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 진실한 회개, 권세를 지닌 자에 의한 침수로써의 침례를 통해 용서와 죄 사함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침례는 거듭남, 즉 새로운 삶의 시작을 상징한다. 그것은 주님의 교회 회원이 되고 그분의 집에서 집행되는 성스러운 의식과 성약을 받기 위해 준비하는 여정의 첫 번째 단계이다. 침례를 받을 때, 여러분은 “기꺼이 그리스도의 이름을 받들려” 한다는 것을(니파이후서 31:13) 하나님 아버지께 증거하는 것이다. 이 중요한 약속은 성찬을 취할 때마다 새롭게 된다.(교리와 성약 20:77 참조)

침례란 무엇인가?

권세를 지닌 자에 의한 침수로써의 침례는 구원 및 승영을 위한 첫 번째 신권 의식이다. 침례는 개인이 예수 그리스도 교회의 회원이 되고 해의 왕국에 들어가기 위해 필요한 의식이다.(요한복음 3:5 참조) 침례를 통해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 덕분에 가능해진 축복을 받을 수 있다.

주제 개요: 침례

관련 복음 학습 안내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 회개, 구원, 영생 , 성약과 의식, Vicarious Ordinances for the Dead[죽은 자를 위한 대리 의식]

제1편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사람에게 당신을 따르고 침례를 받으라고 권유하신다

이미지
예수 그리스도께 침례를 베푸는 침례 요한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거룩하고 죄가 없으셨지만 “모든 의를 이루”기 위해 침례 요한에게 가셔서 침례를 받으셨다.(마태복음 3:13~17; 히브리서 4:15; 니파이후서 31:5~7 참조) 하나님은 당신의 모든 자녀에게 죄 사함을 받고 영생을 상속받을 수 있도록 예수 그리스도의 모범을 따라 침례를 받으라고 명하셨다.(니파이후서 31:13, 17~18 참조)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을 행사하고 죄를 회개함으로써 침례를 받을 준비를 하게 되며, 이 회개는 상한 마음과 통회하는 심령으로 나타난다.(모로나이서 6:1~3; 교리와 성약 20:37 참조)

하나님께서는 신권 권세를 지닌 사람이 침례를 집행하도록 명하셨다.(제3니파이 11:21~28; 교리와 성약 20:72~74; 22:1~4, 역사적 배경 포함 참조) 1829년 5월, 하늘의 사자 침례 요한은 침례 의식과 침례를 행할 권세를 선지자 조셉 스미스에게 회복해 주었다.(조셉 스미스—역사 1:68~73 참조)

역사를 통틀어 하나님의 많은 자녀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배우지 못하거나 그분의 신권 권세로 집행되는 침례를 받지 못한 채 살다가 죽었다. 하지만 모든 영혼은 하나님 보시기에 소중하므로, 그분의 계획 안에는 이러한 죽은 자들이 영의 세계에서 복음을 배울 기회가 마련되어 있다.(교리와 성약 138:30~37 참조) 오늘날 교회 회원들은 이생에서 필요한 복음 의식을 받지 못하고 돌아가신 조상들의 이름을 찾아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성전에서 그들을 위한 대리 침례를 받기 위해 노력한다.(교리와 성약 128:16~18 참조)

생각해 볼 점

  • 선지자 니파이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침례를 받으신 이유에 대해 기록했다. 니파이후서 31장 4~13절을 공부한다. 이 성구들은 주님께서 침례를 받으신 목적에 대해 무엇을 알려 주는가? 여러분이 침례받는 것은 “기꺼이 그리스도의 이름을 받들고자 함을 … 아버지께 증거”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니파이후서 31:13)

  • 교리와 성약 20편 37절을 읽으면서, 침례를 받기 위해 해야 할 중요한 준비 방법은 무엇인지 찾아본다. 이 성구는 어린 나이에 침례를 받은 교회 회원에게 어떤 지침을 줄 수 있는가?

다른 사람과 함께 배우는 활동

  • 죽은 자를 위한 침례의 교리가 회복된 것은 오늘날 우리에게 그러하듯이 조셉 스미스와 초기 후기 성도에게도 크나큰 축복이었다. 여러분이 죽은 자를 위한 침례의 교리를 알게 된 초기 성도들 중 한 명이었다면 어떤 기분이었을지 생각해 본다. 이 교리는 하나님 아버지의 구원의 계획에 관해 무엇을 가르쳐 주는가?

더 알아보기

제2편

침례는 우리가 영생을 얻도록 준비시켜 준다

이미지
포옹하는 가족

침례는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 매장, 부활을 상징한다. 이 중요한 비유를 통해 우리는 침례를 받을 때 영적으로 거듭나는 것이라는 상징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죽음에서 새 생명으로 부활하셨듯이, 우리도 침례의 물에서 나오면 “새 생명 가운데서 행”해야 한다.(로마서 6:4; 또한 3~11절 참조)

또한 경전에서는 침례와 예수 그리스도를 겸손히 따르는 사람들에게 일어나는 영적 변화를 태어나는 것에 비유한다.(요한복음 3:1~8 참조) 아기가 물과 피와 영으로 태어나는 것처럼, 침례를 받고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고자 노력하는 모든 사람은 물과 영을 통해 다시 태어나며 “피 곧 [그리스도]의 피로써 깨끗하게” 된다.(모세서 6:59) 따라서 영적인 거듭남, 즉 “다시 태어남”으로써 어떻게 깨끗한 삶이 시작되는지 생각해 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모사이야서 5:7; 27:25~26 참조)

주님께서는 물의 침례가 불의 침례보다 선행된다고 가르치셨다. 불의 침례는 성신의 은사를 말하며, 성신은 불처럼 깨끗하게 하고 정화한다.(사도행전 1:5; 니파이후서 31:13 참조) 불의 침례는 죄 사함을 가져온다.(니파이후서 31:17; 제3니파이 9:19~20; 교리와 성약 39:6 참조)

생각해 볼 점

  • 데이비드 에이 베드나 장로는 이렇게 가르쳤다.

    “우리는 필멸의 생에서 영원한 발전을 위한 하나님 아버지의 완전한 계획에 따라 살아가려 애쓰는 불완전한 인간입니다. 그 계획의 요구 조건은 영광스럽고 자비로우면서도 엄격합니다. 우리는 어떤 때에는 결의에 차 있지만, 때로는 자신이 완전히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마지막 날에 그분 앞에 흠 없이 서라는 명령이 과연 영적으로 성취 가능한 일인지 의문이 들지도 모릅니다.

    주님의 도움으로, 또 ‘[우리]에게 모든 것을 가르[쳐]’[요한복음 14:26] 줄 그분의 영의 권능을 통해, 참으로 우리는 축복받아 자신의 영적 잠재력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거듭나고 그리스도의 남자와 여자가 되려 힘쓸 때, 의식들은 우리 삶에 영적인 목적 의식과 힘을 불어넣어 줍니다. 우리는 연약함이 강해지고, 한계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1

    “거듭나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역할은 무엇인가?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에게는 어떤 축복이 올 수 있는가?

다른 사람과 함께 배우는 활동

  • 다시 태어나는 것에 관해 가르치시는 예수님”(6:03)을 시청하며, 그룹 구성원들에게 예수 그리스도께서 니고데모에게 가르치신 원리들을 들어 보라고 한다. 예수님은 니고데모가 하나님의 왕국을 준비하는 방법을 더 잘 이해하도록 육체적 출생이라는 상징을 어떻게 사용하셨는가?

더 알아보기

제3편

어린아이들은 침례가 필요하지 않다

이미지
달리고 있는 어린이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어린아이들이 하나님 앞에 죄가 없다고 가르치셨다.(마태복음 18:3; 마가복음 2:17; 모로나이서 8:8 참조)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로 인해 어린아이들은 침례를 받을 필요가 없다. 부모는 자녀에게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과 회개, 침례, 성신의 은사의 중요성을 가르칠 책임이 있다.(교리와 성약 68:25~28 참조) 어린이들은 경전에서 책임질 수 있는 연령이라고 설명한 여덟 살에 침례를 받아야 한다.(교리와 성약 20:71; 29:46~47; 68:27 참조) “책임을 질 수 있는 나이에 이르기 전에 죽은 모든 어린아이가 하늘의 해의 왕국에서 구원 받[느니라.]”(교리와 성약 137:10)

어떤 사람들은 책임질 능력이 없는 장애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회개나 침례가 필요하지 않으며 해의 왕국에서 구원받는다.(모로나이서 8:22; 교리와 성약 29:49~50; 137:10 참조) 교회 지도자들은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합당하고, 의식을 받기를 원하며, 책임질 수 있는 능력을 충분히 나타내 보인다면 의식을 보류해서는 안 된다”2고 분명히 밝혔다.

생각해 볼 점

다른 사람과 함께 배우는 활동

  • 브리검 영 회장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유아는 순결하며, 마음의 슬픔이나 회개하고 버릴 죄가 없으며, 결과적으로 죄 사함을 위한 침례를 받을 수 없습니다.”3 그룹 구성원들과 함께 모로나이서 8장 4~15, 19~24절을 읽는다. 이 성구는 유아에게 침례가 필요하지 않은 이유를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가?

더 알아보기

  1. 데이비드 에이 베드나, “죄 사함을 항상 간직하여”, 『리아호나』, 2016년 5월호, 62쪽.

  2. 『일반 지침서: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에서 봉사함』, 38.2.4, 복음 자료실.

  3. 『교회 회장들의 가르침: 브리검 영』[1997], 6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