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서 나를 따르라 2024
4월 8일~14일: 주께서 우리와 함께 일하시다. 야곱서 5~7장


“4월 8일~14일: 주께서 우리와 함께 일하시다. 야곱서 5~7장”, 『와서 나를 따르라—가정 및 교회: 2024 몰몬경』(2024)

“4월 8일~14일. 야곱서 5~7장”, 『와서 나를 따르라—가정 및 교회: 2024』(2024)

이미지
감람나무 밭에서 일하는 사람들

감람나무의 비유, 브래드 티어

4월 8일~14일: 주께서 우리와 함께 일하시다

야곱서 5~7장

세상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아직 듣지 못한 사람이 아주 많다. 그런 사람들을 주님의 교회로 집합하게 하는 막대한 과업에 부담감을 느낀다면, 야곱서 5장에서 야곱이 전한 감람나무 이야기에서 위안을 얻을 수 있다. 바로 포도원은 주님의 것이라는 사실이다. 그분은 우리 각자에게 당신의 일을 도울 수 있는 작은 영역, 즉 가족, 친구, 그리고 우리의 영향권에 있는 이들을 주셨다. 그리고 우리가 가장 먼저 집합을 도와야 할 사람이 우리 자신일 때도 있다. 그러나 그 일을 할 때 우리는 결코 혼자가 아니다. 포도원의 주께서 종들과 함께 일하시기 때문이다.(야곱서 5:72 참조) 하나님은 당신의 자녀를 알고 사랑하시며, 과거에 당신을 거부했던 사람들까지도 당신의 복음을 들을 수 있도록 길을 마련하실 것이다.(야곱서 4:15~18 참조) 그런 후 그 일이 끝나면, “[그분과] 함께 부지런히 일[한 이들은] [그분의] 포도원의 열매로 인하여 [그분과] 더불어 기쁨을 누릴 것”이다.(야곱서 5:75)

가정 및 교회에서 배우기 위한 아이디어

야곱서 5장

예수 그리스도는 포도원의 주인이시다.

야곱서 5장은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이야기이다. 여기에는 나무와 열매, 종들이 나오지만 사실상 이것은 역사를 통해 하나님과 그분 백성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러므로 기본적인 줄거리를 따라가면서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것들이 무엇을 상징하는지 생각해 본다.

예를 들어, 포도원이 세상을 상징하고 가꾼 감람나무는 이스라엘(또는 하나님과 성약을 맺은 사람들; 야곱서 5:3 참조)을 상징한다면, 들감람나무가 상징하는 것은 무엇일까? 좋은 열매와 나쁜 열매는 무엇을 상징할까? 이외에 또 어떤 상징을 찾았는가?

야곱서 5장이 여러 국가와 수 세기에 걸친 세계 역사를 다루지만 동시에 이것은 여러분과 여러분의 삶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야곱서 5장에서 여러분에게 적용될 수 있는 어떤 메시지를 찾을 수 있는가?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야곱서 5장이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가르친다는 사실일 것이다. 이 장을 읽으면서 그분에 대한 내용을 찾아본다. 예를 들어 40~41절, 46~47절에서는 그분에 대해 어떤 점을 알게 되는가?

야곱서 5장에 관해 더 많은 통찰을 얻고 싶다면 본 개요 마지막에 수록된 도표를 참고한다.

야곱서 5:61~75

이미지
세미나리 아이콘
주님은 나에게 당신의 포도원에서 당신과 함께 일하자고 권유하신다.

주님의 포도원으로 부름받은 “다른 종들”에는(야곱서 5:70) 여러분 같은 사람들도 포함된다. 야곱서 5장, 특히 61~62절70~75절에서는 주님의 포도원에서 일하는 것에 관하여 어떤 진리를 찾을 수 있는가? 그분의 일을 도우면서 그분에 대해 어떤 점을 알게 되었는가?

주님께서 포도원에서 일하시는 “마지막” 때에 관해 읽을 때, “힘을 다하여” 주님께 봉사해야겠다는 영감을 주는 부분은 무엇인가?(야곱서 5:71) 복음을 나누거나, 성전에서 봉사하거나, 다른 사람들을 강화하는 등 포도원의 주를 위해 봉사하면서 기쁨을 느꼈던 개인적인 경험을 떠올려 본다. 또한 게리 이 스티븐슨 장로의 말씀 “단순하면서 아름답고, 아름다우면서 단순한 것”에 나오는 사례들을 살펴보아도 좋을 것이다.(『리아호나』, 2021년 11월호, 47~50쪽)

러셀 엠 넬슨 회장은 이렇게 가르쳤다. “휘장 양편에 있는 사람들이 하나님과 성약을 맺고 필수적인 침례와 성전 의식들을 받도록 돕는 일이라면, 여러분이 언제 누구를 위해 무엇을 하든 여러분은 이스라엘의 집합을 돕는 것입니다. 그처럼 단순합니다.”(“이스라엘 시온 군대”[전 세계 청소년 영적 모임, 2018년 6월 3일], ChurchofJesusChrist.org) 이스라엘의 집합을 돕기 위해 여러분이 할 수 있는 일들을 목록으로 작성하기 시작해 본다. 그 목록에 적힌 일 중에서 주님께서 여러분이 오늘 당신의 포도원에서 하기를 바라실 만한 일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75절에 따르면, 주님은 우리가 그분의 포도원에서 일한 것에 대해 어떤 보상을 하시는가?

또한 다음을 참조한다. “애통하는 이스라엘”, 『찬송가』, 10장; “구약전서 감람나무 포도원”(동영상), 복음 자료실.

교리를 가르친다. 토론은 경전에 나오는 기본 교리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 함께 경전을 읽고, 여러분이 찾은 진리와 그 진리대로 생활했던 경험을 서로 나눈다.

야곱서 6:4~5

주님은 사랑과 자비로 당신의 백성을 기억하신다.

합하다[cleave]라는 단어의 한 가지 의미는 뭔가에 확고하고 단단하게, 흔들림 없이 꽉 달라붙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의를 알면 야곱서 6장 4~5절을 이해하는 방식이 어떻게 달라지는가? 감람나무 이야기에서 포도원의 주는 어떻게 “자비하신 팔”을 펼쳤는가?(예를 들어, 야곱서 5:47, 51, 60~61, 71~72 참조) 그분은 여러분에게 어떻게 자비의 팔을 펼치셨는가?

야곱서 7:1~23

다른 사람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내 신앙을 공격할 때 나는 굳건히 남을 수 있다.

니파이인들이 시렘과 겪은 일은 오늘날에도 자주 일어난다. 즉, 사람들은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을 무너뜨리려 한다. 야곱은 자신의 신앙이 공격받자 어떻게 했는가? 야곱의 대응에서 배울 점은 무엇인가? 구주를 믿는 여러분의 신앙이 공격받을 때를 대비해 여러분이 지금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또한 다음 자료를 참조한다. 제프리 알 홀런드, “제자 됨의 대가와 축복”, 『리아호나』, 2014년 5월호, 6~9쪽; “시렘이 그리스도를 부인하다”(동영상), 복음 자료실.

더 많은 아이디어를 얻으려면, 이번 달 『리아호나』와 『청소년의 힘을 위하여』 잡지 기사를 참조한다.

어린이를 가르치기 위한 아이디어

야곱서 5장

주님께서는 당신의 백성을 보살피세요.

  • 어떻게 하면 감람나무의 비유를 아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전할 수 있을까? 한 가지 방법은 밖으로 산책하러 나가서 나무 한 그루를 바라보며 이야기의 요점을 간략하게 들려주는 것이다. 포도원의 주는 그의 나무를 위해 무엇을 했는가? 우리는 어떻게 이 이야기에 나오는 일꾼들처럼 되어 다른 사람들이 구주의 사랑을 느끼도록 도울 수 있는가?

  • 야곱은 자신의 백성에게 그리스도께 나아오도록 권유하기 위해 감람나무 이야기를 전했다. 이 이야기는 아이들에게도 그러한 권유의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여러분은 다음과 같은 구절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요약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야곱서 5:3~4, 28~29, 47, 70~72. 그런 다음 여러분이나 아이들이 야곱서 5장 11, 41, 47, 72절을 읽고, 포도원의 주(예수 그리스도)가 감람나무를 얼마나 열심히 보살폈는지 드러나는 부분을 찾아본다. 구주께서는 당신이 우리를 보살피신다는 사실을 보여 주기 위해 무엇을 하시는가?

야곱서 6:4~5

하늘 아버지께서는 나를 사랑하시며, 내가 회개하면 용서해 주실 거예요.

  • 야곱서 6장 4~5절에는 우리가 잘못된 선택을 할 때 기억해야 할 중요한 메시지가 있다. 아이들이 그것을 찾아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 구절에서 구속하시는 하나님의 사랑에 대해 우리가 희망을 갖게 해 주는 말은 무엇인가? 진흙 구덩이에서 몸을 더럽힌 것에 대한 앨런 디 헤이니 장로의 말씀 “우리가 누구를 의뢰하여 왔는지 기억하며”가 도움이 될 수 있다.(『리아호나』, 2015년 11월호, 121~122쪽) 이 이야기와 야곱서 6장 4~5절의 가르침에 따르면, 우리는 하나님의 왕국에서 구원받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야곱서 7:1~23

나는 내가 참되다고 알고 있는 것을 수호할 수 있어요.

  • 아이들이 야곱처럼 진리를 수호하도록 어떻게 용기를 북돋아 줄 수 있을까? 아이들은 동영상 “제10장: 야곱과 시렘”을 시청하고(복음 자료실), 야곱서 7장 1~23절을 참고하여 야곱과 시렘의 대화를 연기해 볼 수 있다. 야곱은 자신이 옳다고 알고 있는 것을 어떻게 수호했는가? 아이들에게 의를 수호했던 경험을 이야기해 달라고 하거나, 여러분의 경험을 나눈다. 『어린이 노래책』, 81쪽, “의를 위해 서라”처럼 야곱과 같은 용기를 노래한 곡을 불러도 좋을 것이다.

아이디어가 더 필요하면, 이번 달 『친구들』 잡지 기사를 참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