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서 나를 따르라 2024
7월 22일~28일: “이 말씀을 너희 마음에 심고” 앨마서 32~35장


“7월 22일~28일: ‘이 말씀을 너희 마음에 심고.’ 앨마서 32~35장”, 『와서 나를 따르라—가정 및 교회: 2024 몰몬경』(2023)

“7월 22일~28일. 앨마서 32~35장”, 『와서 나를 따르라—가정 및 교회: 2024』(2023)

이미지
어린이의 손에 놓인 씨앗

7월 22일~28일: “이 말씀을 너희 마음에 심고”

앨마서 32~35장

조램인들에게 기도란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는 곳에 선 채로 헛되고 자기만족적인 말을 반복하는 것이었다. 그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이 부족하여 그분의 존재를 부정하기까지 했으며 가난한 이들을 박해했다.(앨마서 31:9~25 참조) 반면 앨마와 앰율레크는 기도가 연단에서 공개적으로 하는 것이라기보다는 마음 깊이 느끼는 것과 더 관련이 있다고 가르쳤다. 우리가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연민을 보이지 않는다면 우리의 기도는 “헛되고, … 무익”하다.(앨마서 34:28)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무한하고 영원한 희생”을(앨마서 34:10) 통해 구속을 베푸시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기 때문에 기도한다는 사실이다. 앨마는 그런 신앙이 겸손과 “믿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했다.(앨마서 32:27) 시간이 지남에 따라 끊임없이 자양분이 공급될 때,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 마음속에 뿌리내려 마침내 “영생으로 솟아오르는 나무”가 된다.(앨마서 32:41)

가정 및 교회에서 배우기 위한 아이디어

앨마서 32:17~43

나는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을 마음에 심고 가꿈으로써 그분을 믿는 신앙을 행사한다.

앨마서 32장 17~43절을 읽으면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을 어떻게 행사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단어와 문구에 주목한다. 신앙이란 무엇이고 신앙이 아닌 것은 무엇인지에 관하여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앨마서 32장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공부할 수도 있다. 씨앗이 성장하는 각각의 단계를 그림으로 그려 본다. 앨마서 32장 28~43절에 나오는 표현 중 하나님의 말씀을 마음에 심고 가꾸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을 각 그림에 적는다.

또한 러셀 엠 넬슨, “그리스도가 살아나셨으므로, 그분을 믿는 신앙은 산을 옮길 것입니다”, 『리아호나』, 2021년 5월호, 101~104쪽을 참조한다.

앨마서 32:26~43

나는 스스로 알 수 있다.

앨마는 그리스도에 대해 자신이 전한 간증을 아직 확신하지 못하는 조램인들에게 한 가지 “시험”을 제안했다.(앨마서 32:27 참조) 시험에는 소망, 호기심, 행동, 그리고 적어도 약간의 신앙이 필요하지만, 이것은 놀라운 발견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여러분이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경험했던 시험에 대해 생각해 본다. 앨마서 32장 26~36절에 따르면, 어떤 종류의 시험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으로 이어질 수 있는가?

여러분은 어떤 방법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시험했고, 또 “그 말씀[이] 선[하다]”는 것을(앨마서 32:28) 알게 되었는가?

앨마서 33:2~11; 34:17~29

나는 언제 어디서나 기도로 하나님을 예배할 수 있다.

예배와 기도에 관한 앨마와 앰율레크의 권고는 조램인들이 잘못 알고 있는 것들을 바로잡기 위한 것이었다. 그들이 잘못 알고 있었던 것들을 적어 본다.(앨마서 31:13~23 참조) 앨마서 33장 2~11절34장 17~29절에서 기도에 관한 진리를 찾아 그 옆에 적는다. 이 구절들에서 배운 것들은 여러분이 기도하고 예배하는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 같은가?

여러분은 “내 기도하는 그 시간”과 같은(『찬송가』, 80장) 기도에 관한 찬송가에서도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앨마서 34:9~16

이미지
seminary icon
나는 예수 그리스도와 그분의 속죄가 필요하다.

앨마서 34장 9~14절에서 앰율레크가 구주의 속죄 희생을 묘사하기 위해 무한영원이라는 단어를 몇 번이나 사용했는지 주목한다. 구주의 희생이 무한하고 영원하다는 사실을 아는 것은 왜 중요한가? 다음 성구에서 구주의 속죄를 묘사하는 단어와 문구들을 찾아본다. 히브리서 10:10; 니파이후서 9:21; 모사이야서 3:13.

우리는 예수님의 구원하시는 권능이 무한하고 영원하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그것이 우리 또는 우리에게 죄를 지은 사람에게도 적용되는지는 의심할 때가 있다. 데이비드 에이 베드나 장로는 “구주를 믿는 신앙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구주께서 약속하신 축복을 자신이 받을 수 있[음을] 믿지 않”는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한 적이 있다.(“너희가 나를 알았더라면”, 『리아호나』, 2016년 11월호, 104쪽) 우리가 구주의 권능을 온전히 받는 데 방해가 되는 것은 무엇인가? 어떻게 하면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가 무한하고 영원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지 숙고해 본다.

여러분에게 구주의 속죄가 얼마나 필요한지 생각해 보기 위해, 여러분이 매일 필요로 하는 것에 관해 생각해 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그것이 없다면 내 삶은 어떨까?”라고 자문해 본다. 그런 다음 앨마서 34장 9~16절을 공부하면서, 예수 그리스도가 안 계시다면 여러분의 삶은 어떠할지 깊이 생각해 본다. 니파이후서 9장 7~9절에서 더 많은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여러분은 앨마서 34장 9~10절을 어떻게 한 문장으로 요약하겠는가?

또한 다음을 참조한다. 마이클 존 유 테, “우리의 개인적인 구주”, 『리아호나』, 2021년 5월호, 99~101쪽; 복음 주제,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 복음 자료실; “재생”(동영상), 복음 자료실.

앨마서 34:30~41

“지금이 너희의 구원의 때와 날임이라”

여러분이 마라톤이나 음악 공연에 참여하고 싶어 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에 대한 준비를 행사 당일까지 미룬다면 어떤 일이 일어나겠는가? 이 예는 앰율레크가 앨마서 34장 32~35절에서 경고한 내용과 어떻게 연관이 되는가? 회개하고 변화하려는 노력을 미루는 것은 어떤 면에서 위험한가?

31절에는 회개를 너무 오랫동안 미루어서 이제는 너무 늦었다고 걱정하는 사람들에게 전하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그 메시지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더 많은 아이디어를 얻으려면, 이번 달 『리아호나』『청소년의 힘을 위하여』 잡지 기사를 참조한다.

어린이를 가르치기 위한 아이디어

앨마서 32:1~16

주님께서는 내가 겸손할 때 나를 가르치세요.

  • 앨마와 앰율레크는 겸손한 조램인들을 성공적으로 가르칠 수 있었다. 겸손하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아이들이 경전 안내서에서 겸손의 정의를 찾도록 도와준다. 앨마서 32장 13~16절에서는 이 단어의 의미에 대해 무엇을 더 배울 수 있는가? 아이들에게 다음 문장을 완성해 보라고 한다. “나는 할 때, 겸손해집니다.”

앨마서 32:28~43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나의 간증은 그것을 가꿀 때 자라나요.

  • 씨앗, 나무, 과일은 아이들이 신앙과 간증 같은 추상적인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친숙한 사물이다. 여러분이 앨마서 32장 28절을 읽어 주는 동안 아이들에게 씨앗을 하나 들고 있어 달라고 한다. 그런 다음,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간증을 키우는 것이 어떤 면에서 씨앗을 심고 가꾸는 것과 같은지 생각해 보자고 한다.(“제29장: 앨마가 신앙과 하나님의 말씀에 대해 가르치다”, 『몰몬경 이야기』, 81쪽 참조) 여러분도 씨앗을 심고, 씨앗, 즉 간증이 자라는 데 필요한 것에 관해 이야기해 볼 수 있다.

  • 앨마서 32장 28~43절에 나오는 앨마의 말을 설명하기 위해 본 개요에 실려 있는 나무 사진을 활용할 수 있다. 또는 산책을 하면서 여러 성장 단계에 있는 식물들을 찾아보고, 성장하는 식물을 우리의 신앙에 비유한 구절을 앨마서 32장에서 찾아 읽어 볼 수 있다. 또는 아이들이 칠판에 직접 나무를 그리게 하고,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간증이 자라게 하기 위해 그들이 할 수 있는 일을 생각해 낼 때마다 나뭇잎이나 열매를 추가하게 할 수도 있다.

  • 아이들에게 돌(교만한 마음을 상징)과 부드러운 땅(겸손한 마음을 상징)에 각각 씨앗(하나님의 말씀을 상징)을 집어넣어 보라고 한다. 앨마서 37장 27~28절을 함께 읽는다. 마음속에 하나님의 말씀을 위한 “자리를 내[준다]”(27절)는 말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림으로 그린다. 어떤 사람들은 자신이 배우고 있는 것을 그림으로 그릴 때 더 잘 이해한다. 예를 들어, 앨마서 32장을 공부할 때 씨앗이 나무로 자라는 단계를 그려 보게 하면 재미있을 것이다.

앨마서 33:2~11; 34:17~27

나는 언제나, 어느 것에 대해서든 하늘 아버지께 기도할 수 있어요.

  • 아이들이 우리가 기도할 수 있는 장소(앨마서 33:4~11)와 우리가 기도할 수 있는 대상(앨마서 34:17~27)을 묘사하는 문구를 찾도록 도와준다. 그 장소에서 기도하는 자신의 모습을 그림으로 그려 볼 수도 있다. 하나님 아버지께서 여러분의 기도를 들으셨던 경험을 서로 나눈다. “어린이의 기도”와 같이(『어린이 노래책』, 6~7쪽) 기도에 관한 노래를 한 곡 부를 수도 있다.

아이디어가 더 필요하면, 이번 달 『친구들』 잡지 기사를 참조한다.

이미지
나무의 열매

“말씀을 가꾸[는] … 너희의 부지런함과 너희의 신앙과 너희의 인내로 말미암아, 머지않아, 보라 너희가 지극히 귀[한] … 열매를 거두게 될 것이라.”(앨마서 3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