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서 나를 따르라 2024
부록 3: 초등회용—노래 부르기 시간 및 어린이 성찬식 발표 유의 사항


“부록 3: 초등회용—노래 부르기 시간 및 어린이 성찬식 발표 유의 사항”, 『와서 나를 따르라—가정 및 교회: 2024 몰몬경』(2023)

“부록 3”, 『와서 나를 따르라—가정 및 교회: 2024』

이미지
노래하는 어린이들과 교사

부록 3

초등회용—노래 부르기 시간 및 어린이 성찬식 발표 유의 사항

초등회 노래는 어린이들이 하나님 아버지께서 마련하신 행복의 계획과 예수 그리스도 복음의 기본적인 진리를 배울 수 있는 강력한 도구이다. 어린이들이 복음 원리에 관한 노래를 부를 때, 성신이 그 원리의 참됨을 증거해 줄 것이다. 또한 노래의 가사와 선율은 어린이들의 머리와 가슴에 평생토록 남을 것이다.

음악을 통해 복음을 가르칠 준비를 할 때 영의 도움을 구한다. 노래에 담긴 진리에 관하여 여러분의 간증을 전한다. 음악이 어떻게 어린이들이 가정과 초등회 반에서 배우고 경험하는 것들과 연결되는지 어린이들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성찬식 발표 지침

어린이 성찬식 발표는 감독의 지시에 따라 보통 4/4분기에 열린다. 초등회 회장단과 음악 지도자는 초등회를 담당하는 감독단 보좌와 협의하여 성찬식 발표를 계획한다.

어린이들은 성찬식 발표를 통해, 자신과 가족이 일 년 동안 가정 및 초등회에서 몰몬경을 공부하며 배운 것과 초등회에서 불렀던 노래를 발표할 수 있어야 한다. 성찬식 발표를 계획할 때, 회중이 구주와 그분의 가르침에 집중하는 데 도움이 될 방법들을 생각해 본다.

어린이의 수가 적은 단위 조직에서는 어린이의 가족들도 함께 참여하게 할 방법을 찾아본다. 성찬식 발표를 마칠 때 감독단의 일원이 간략하게 말씀을 전할 수 있다.

성찬식 발표를 준비할 때 다음 지침을 유념한다.

  • 연습을 목적으로 초등회 공과나 가족 시간을 불필요하게 뺏어서는 안 된다.

  • 시각 자료, 무대 의상, 각종 영상 매체 등을 이용한 발표는 성찬식에 적합하지 않다.

『일반 지침서: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에서 봉사함』, 12.2.1.2 참조.

노래 부르기 시간 지침

5분(초등회 회장단): 개회 기도, 경전 구절 또는 신앙개조, 말씀(1명)

20분(음악 지도자): 노래 부르기 시간

초등회 회장단과 음악 지도자는 어린이들이 초등회 반과 가정에서 배우고 있는 원리들을 보강하기 위해 매달 노래를 선정한다. 이러한 노래들은 아래를 참고한다.

어린이들에게 노래를 가르칠 때, 그 노래에 담긴 이야기와 교리적 원리에 관하여 그들이 이미 배운 것을 이야기해 보도록 권유한다. 어린이들이 노래에 담긴 진리에 관하여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이야기하게 한다.

초등회에서 다루는 음악의 기본 자료는 『어린이 노래책』이다. 찬송가 책에 실린 찬송가와 『친구들』에 실린 노래도 다룰 수 있다. 이외의 음악을 초등회에서 사용할 때는 감독단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일반 지침서』, 12.3.4 참조)

이미지
노래 부르는 어린이들

노래 부르기 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음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 고요하고 작은 음성”, 『리아호나』, 2006년 4월호, 친구들 13쪽

  • 사무엘이 예언했네”, 『성도의 벗』, 1992년 12월호, 어린이란 55쪽

  • 주 예수를 닮으려고”, 『어린이 노래책』, 40~41쪽

10월

11월

12월

음악으로 교리를 가르친다

노래 부르기 시간의 목적은 어린이들이 복음 진리를 배우도록 돕는 것이다. 찬송가와 초등회 노래에 담긴 복음 원리를 가르칠 방법을 계획할 때 다음 제언에서 영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관련 성구를 읽는다. 『어린이 노래책』과 찬송가 책에 실린 많은 곡에는 관련 참조 성구가 표기되어 있다. 어린이들이 그러한 성구를 읽고 그것들이 해당 노래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이야기하도록 도와준다. 또한 몇 가지 참조 성구를 칠판에 적어 주고, 어린이들이 각 성구를 노래 또는 노래의 절과 짝지어 보게 할 수도 있다.

빈칸을 채운다. 칠판에 가사를 적되, 핵심 단어 몇 개는 적지 않고 칸을 비워 둔다. 그런 다음 어린이들에게 노래를 부르면서 빈칸에 들어갈 단어를 찾아보자고 한다. 빈칸을 채워 가면서, 이러한 단어들에서 어떤 복음 원리들을 배울 수 있는지 이야기한다.

이미지
노래 부르기 시간 지도자

간증한다. 초등회 노래에 담긴 복음 진리에 대해 어린이들에게 간략한 간증을 전한다. 노래를 부르는 것은 간증을 전하고 영을 느낄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임을 어린이들이 이해하도록 돕는다.

증인이 된다. 돌아가며 자리에서 일어나 어린이들이 부른 노래에서 배운 것을 말해 달라고 한다. 그 노래에 담긴 진리에 대해 느낀 것을 이야기해 달라고 해도 좋다. 노래를 부를 때 어떤 느낌이 드는지 물어보고 그들이 성신의 영향력을 깨닫도록 도와준다.

그림을 사용한다. 어린이들에게 노래에 나오는 중요한 단어나 문구를 나타내는 그림을 함께 찾거나 그려 보자고 한다. 그 그림이 노래 및 노래에 담긴 가르침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이야기해 보게 한다. 예를 들어, “쇠막대”라는 노래를(『찬송가』, 170장) 가르친다면, 이 노래에 나오는 중요한 단어들(예: 쇠막대, 하나님의 말씀, 인도, 유혹 등)을 묘사하는 그림을 교실 곳곳이나 의자 아래 붙여 둘 수 있다. 그림을 모아 달라고 하고, 함께 노래를 부르면서 순서에 맞춰 그림을 들어 올리게 한다.

실물 공과를 한다. 실물을 사용하면 노래에 관한 토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들과 함께 “신앙”이라는 노래를(『어린이 노래책』, 50~51쪽) 부른다. 어린이들에게 씨앗을 하나 보여 주고, 씨앗을 심는 일이 어떻게 신앙을 나타내 보이는 행위가 되는지 이야기해 볼 수 있다. 그런 후, 이 노래에 묘사된 것처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을 보일 방법에 관해 토론해 볼 수 있다.

개인적인 경험을 나누도록 권유한다. 어린이들이 노래에서 배운 원리를 그 원리와 관련된 자신의 경험과 연관 지을 수 있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나 성전 보고 싶어”를 부르려고 한다면(『어린이 노래책』, 99쪽), 노래를 부르기 전에 먼저 성전을 본 적이 있는 어린이는 손을 들어 보라고 한다. 성전을 보면 어떤 느낌이 드는지 노래를 부르면서 생각해 보라고 권유한다.

질문을 한다. 노래를 부를 때는 많은 질문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들에게 노래의 각 절에서 무엇을 배웠는지 물어볼 수 있다. 또한, 그 노래가 어떤 질문에 대한 답이 될 수 있는지 생각해 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렇게 해서 노래에 담긴 진리에 관한 토론으로 이어 간다.

간단한 손동작을 활용한다. 어린이들에게 노래의 가사와 가르침을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간단한 손동작을 생각해 보게 한다. 예를 들어, “주는 이 몸을 사랑해요” 2절을 부른다면(『어린이 노래책』, 16~17쪽) 손으로 나비 모양을 만들고, 자신의 눈을 가리키고, 손으로 컵 모양을 만들어 귀에 대는 등의 동작을 할 수 있다. “주는 이 몸을 사랑해요” 부분을 부를 때는 양손을 가슴 위에 모아 보라고 한다.